건강검진이나 MRI 촬영을 하던 중 '뇌 저류낭종'이라는 말을 들은 적 있으신가요? 하지만 실제로 '뇌 저류낭종'은 정식 의학 용어가 아니기 때문에 혼란을 겪는 분들이 많습니다. 오늘은 이러한 표현이 어떤 질환을 의미할 수 있는지, 가장 유사한 개념인 지주막하 낭종과 뇌 낭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뇌 저류낭종이란?
실제로 의료계에서 '뇌 저류낭종'이라는 용어는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습니다.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뇌 안에 물주머니처럼 액체가 고여 생긴 구조물을 의미하며, 대표적으로 아래 두 가지를 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지주막하 낭종 (Arachnoid Cyst)
- 뇌 낭종 (Brain Cyst)
이러한 낭종은 대부분 양성이며, 뇌 구조 주위의 뇌척수액이나 다른 체액이 고여 생긴 것입니다. 증상이 없을 경우 정기적인 관찰만으로 충분하지만, 특정한 위치나 크기에 따라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
지주막하 낭종 (Arachnoid Cyst)
✔ 정의
지주막은 뇌를 감싸는 얇은 막 중 하나로, 이 부위에 뇌척수액(CSF)이 고여 주머니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'지주막하 낭종'이라고 부릅니다.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, 뇌의 측두엽이나 소뇌 부위에 자주 발견됩니다.
✔ 주요 증상
- 대부분 무증상
- 두통
- 구토
- 시야 이상
- 경련
- 아이의 경우 발달 지연
✔ 진단 방법
- MRI(자기공명영상)
- CT 스캔
✔ 치료
- 무증상일 경우 정기 관찰
- 낭종이 뇌압을 높이거나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 배액술, 절제술, 션트(뇌척수액 우회로 설치) 시행
뇌 낭종 (Brain Cyst)
✔ 정의
뇌 속에서 발견되는 액체가 찬 주머니를 총칭하는 용어입니다. 다양한 원인과 종류가 있으며, 대표적으로는 콜로이드 낭종, 피질성 낭종, 뇌실 낭종 등이 있습니다.
✔ 증상
낭종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다르며, 뇌압 증가로 인한 두통, 메스꺼움,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✔ 원인
- 선천적 구조 이상
- 외상 후유증
- 뇌염이나 감염 후 발생
✔ 치료
- 무증상인 경우 관찰
- 크기 증가나 증상 유발 시 수술적 치료 고려
혼동하기 쉬운 '저류성 낭종(Retention Cyst)'
'저류낭종'이라는 표현은 뇌보다는 부비동, 타액선, 콧속 구조 등에서 더 자주 사용됩니다. 이 또한 액체가 배출되지 못하고 고여 발생한 낭종을 의미하며, MRI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그러나 두개골 기저부와 인접한 부비동 영역에 있는 경우, 뇌 MRI 결과에 나타나 오해를 살 수 있습니다.
결론: 뇌 낭종, 무조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
'뇌 저류낭종'이라는 표현은 생소하고 불안감을 줄 수 있지만, 실제로는 대부분 양성 낭종이며 무증상인 경우가 많습니다. 하지만 증상이 동반되거나, 낭종이 크고 뇌를 압박하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니, 신경외과 전문의와의 정밀 상담이 중요합니다.
꼭 기억하세요!
✅ '뇌 저류낭종'이라는 표현은 정확한 의학 용어는 아닙니다.
✅ MRI상 '지주막하 낭종' 또는 '뇌 낭종'을 의미할 가능성이 큽니다.
✅ 대부분 양성이며, 정기적인 추적관찰만으로도 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.
✅ 증상이 있거나 크기가 커질 경우 신경외과의 적절한 평가가 필요합니다.
'건강, 식품 영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의약외품 GMP 자율도입 활성화, 왜 중요한가? (2) | 2025.04.16 |
---|---|
저에코 결절과 무에코 낭종의 차이점은? (2) | 2025.04.15 |
담도암과 간암의 차이점, 정확히 알고 대처하자 (8) | 2025.04.14 |
독감 후유증으로 인한 횡문근융해증 발생, 꼭 알아야 할 증상과 대처법 (4) | 2025.04.14 |
🌬️ 천식이란? 증상부터 치료, 관리법까지 한눈에 정리 (10) | 2025.04.12 |